top of page
Search

목요성경공부: 신명기 4강

Writer's picture: AdminAdmin



 

들으라 이스라엘 4: 즐거워하라 (신명기 12:1 ~ 16:22)


• 조상의 하나님이 오늘 나의 하나님이신가? • 세상은 우리가 아니라 우리 안에 있는 하나님의 지혜(십자가)를 두려워 한다.


규례(정해진 한계)와 법도(하나님의 판결)는 평생을 두고 지켜져야 한다(12:1). "Destroy completely all the places." 제단 / 주상(뿌리박힌 기둥) / 아세라 상 / 조각한

신상들 / 그 이름들 (12:3)

사실 "이름"을 지우는 일이 가장 어렵다.


12:5 자기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 그 계실 곳으로 찾아 나아가라. 이름이 존재의 전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이 되었다." By 김춘수 그런데 하나님은 자신의 이름을 알려주시며 우리에게 오신다. 각자의 성castle이 아닌 연합의 장소로 가야 한다.


Q. ‘그 계실 곳’the place for His dwelling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까? 12:6 [번제 + 제물 + 거제 + 서원제 + 낙헌 예물 + 소와 양의 처음 난 것들]은 수고한 일에 주신 복이다. 복의 증거들을 하나님께 드리고 먹음. 이게 나와 내 집(12:7)의 즐거움이다(우리 발로 한 수고 아님).


여기(광야)와 거기: 여기에서는 각기 소견대로 했지만 ‘거기’에서는 그렇게 하면 안 됨.

그러나 결국 ‘거기’를 광야로 만들고 말았다(사사기 17:6; 21:25).

12:9 하나님은 우리에게 안식(평안함 + 쉼)과 기업을 주신다.

하나님 앞에서의 즐거움은 나와 자녀, 노비와 레위인 모두에게 해당된다. 예배를 통해 ‘나의 수고’가 공동체의 즐거움을 위해 드려진다. 그러나 각 성에서는 ‘마음에 원하는 대로’ 먹을 수가 있다(12:15). 이제 하나님은 선과 을 분명하게 지시하신다(12:28). 이전에는 금지되어 있어서 알려지지 않았다. 창세기 2:17의 에덴 동산에서는.

‘그들의 자취를 밟으면’ 올무에 걸리게 될 것이다(12:30). 선과 악을 선택했을 때의 결과도

분명하게 알려주신다. 멸망한 민족들은 자기 자녀를 불살라 그들의 신에게 드렸다(12:31).

선지자나 꾸는 를 판단하는 기준은 이적과 기사가 아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던 다른 신들" 마음과 뜻을 다해 하나님 사랑하는지를 알기 위한 시험(증명을 위한)이다.

그러므로 악을 제하라.

선지자나 꿈꾸는 자 뿐만 아니라 형제, 자녀, 아내, 친구도 "우리가 알지 못하던 다른 신들"을 섬기자고 우리를 유혹할 수 있다(13:6). "사람의 원수가 자기 집안 식구리라."(마태 10:36)

참과 거짓의 문제는 우리의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다. 그 분의 이름은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나를 인도하여 내신 내 하나님 여호와"이다(13:10).

어떤 불량배(Belial: 무가치함; 사악함; 고후 6:15에 나오는 사탄의 별명)는 어느 시대, 어느 장소에나 있다. "너희가 알지 못하던 다른 신들을 섬기자."라고 유혹함(13:13).

진멸할 물건에는 손을 대지 말라. 아까워서? cf. 삼상 15:9의 사울.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자녀"(14:1) 빌립보서 2:15과 함께 성경에 딱 두 번만 나오는 표현. "너희는 여호와의 성민"(7:6; 14:2; 14:21; 26:19; 28:9)


십일조: 매년 토지의 소산을 드림 +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의 십일조와 소와 양의 처음 난

것을 하나님 앞에서 먹음(가족과 레위인이 함께 14:26-27) + 하나님 경외하기를 배움

이 세가지 측면 모두 십일조의 의미이다.

매 3년째 소산의 십일조는 살고 있는 성읍에 저축 for 레위인, 나그네, 고아와

과부들(14:28-29)

매 7년마다 빚을 면제해 주어라(15:1). "가난한 자가 없을 것이다. " 복은 면제한 에게

주어진다. 여러 나라에 꾸어 주고 여러 나라를 다스린다. 면제년이 가까워도 손을 그에게

펴서 쓸 것을 꾸어주라. 하나님 나라의 원리(규례: 지정된 것, 정해진 한계)로 산다.

악한 생각은 아무 것도 주지 않으려 한다(15:9). ‘쓸 것’(15:8)이란 그의 부족과 결핍을

의미한다. 이보다 더 적극적 개념이 사도행전 4:34-35에 나타남.

"그 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으니" 곤란한 자와 궁핍한 자를 대하는 태도가 복을 결정한다(15:11).


유월절 제사. 무교병은 고난(억압)의 떡. 어디에서 나오게 되었는지를 기억하라. 연합으로

드림. 여호와 앞에서 먹음. 일상에서 엿새 동안 무교병을 먹음. 다시 여호와 앞에 모이고

안식함.

우리의 즐거움: 자원하는 예물 / 자녀, 노비, 성 중의 레위인, 나그네, 고아, 과부와(16:11)

/ 연합의 장소에서 / 애굽에서 종 되었던 것을 기억함(마 18:23-34의 비유) + "공의만을

따르라."(16:20)

4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