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arch

주일성경공부: 고린도전서 24강

Writer's picture: AdminAdmin


 

[예배] 4.4. 사랑의 찬가 (12:31-14:1)


[지중해의 눈으로 본 바울: 고린도전서의 문예-문화적 연구] by Kenneth E. Bailey (1930~2016)

• 몸의 각 지체에는 몸을 가치있게 만드는 유일한 기능들이 있다. 그러나 현대의 가치

기준은 생산성productivity이다.

12:18 하나님이 각 지체를 배치하신다arrange. 하나님은 "질서"를 세우신 분이므로 믿을

수 있다. 하나님은 은사를 통해 각자를 세우신다place(12:28). 두 구절에서 같은 단어를 사용.

12:21 모든 지체는 다 필요하다.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y을 가진다. 그러나 때로 개인과

교회는 자만


Q. 고린도전서가 누구에게 보낸 편지였었나? (1:2)

Re: 고린도교회 교인들 / 모든 그리스도인들

약하고 존경 받지 못하고 볼품 없는 지체들(12:22-23 재생산에 관계된 생식 기관들?)을

하나님은 몸과 연합시키셔서(고르게 해서) 귀중함을 더하신다(12:24).

재생산될 수 없는 몸은 사라질 것(12:19)이고 그것은 교회도 마찬가지이다.

분쟁(12:25)은 갈라진 틈. 이미 1:10과 11:18에 나왔었다.

건강한 몸에는 분쟁(11:30 질병과 죽음)이 없다. 고통영광을 함께 하는 지체(롬 12:15)가 되는 것은 성령의 임재로만 가능하다.


12:28 "서로 돕는 것과 다스리는 것" 사람보다는 기능이나 행동을 말함. 다양한 경우에 구체적으로 돕는 행위와 실제로 지침을 주는 것. 은사는 잠재적인 힘이나 능력이 아닌 실제 행위와 말로 나타나야 한다. 은사에 특권privilege은 없고 오직 책임responsibility 만 있다.

• 사랑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 대책. Q. 어떤 사랑을 말하는가? - 에로스: 종교적이거나 성적인 차원의 사랑

- 필레오: 친구들 간이나 건강한 가족 간의 사랑 - 아가페: ① 모든 사람에게 미치는 보편적인 사랑 ②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라고

명령하는 법 ③ 아가페의 좋은 본보기는 그리스도의 삶 ④ 각 은사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성분 ⑤ 아가페의 원천은 성령. 13:4-7에 이 "아가페"의 정의가 나타나 있다.

12:31 "너희는 더 큰 은사를 위해 열심을 내라. 나는 너희에게 훌륭한 을 보여주겠다." 14:1 "사랑을 너희 목표로 삼으라. 그래야 신령한 은사들을 간절히 사모하(는 의미가 있다.)"

"사모하라"는 두 명령(book end 같이) 사이에 "더 중요한 은사-사랑"이 놓여있다.

13:1-2 방언, 예언, 지식은 신령한 은사이지만 일시적인 은사이다. 13:13 "더 높은 은사"(믿음, 소망, 사랑)는 항상 있는 은사이다.

훌륭한 이란 넘는 여정이 힘든 오르막길을 의미한다. 그래서 계획, 훈련, 에너지, 단련,

헌신, 많은 시간 투자, 장기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하나님은 성령을 통해 신령한 은사를 나누어 주시지만 신자가 은사를 받아들여 사용하지

않으면 선물은 선물로서의 목적을 이루지 못한다.

로마의 부자들이 갖기 원했던 "고린도 산 청동"(구리)

고린도교회는 사람의 말과 관련된 방언의 은사를 가졌다. 만일 천사의 말을 있다고

해도 자신의 신령한 은사를 자랑하고 동료 그리스도인들을 무시한다면 방언은 결국 소음이 되고 만다.


13:2 "나는 쨍그랑거리는 놋쇠다."보다 더 심한 표현인 "나는 아무 것도 아니다."를 사용.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청지기(4:1)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니다. 지식을 얻으면 교만해지는 일이 흔하게 벌어진다. 바울 당시에 지식gnosis은 영지주의 세계관의 핵심. 어떤 믿음의 수준에 도달했다고 작은 믿음을 가진 사람을 무시한다면?


13:3 구제하는 사람은 상을 받을거라는 소망이 있기에 자신의 소유를 남에게 나누어 준다. "불사르게"는 처음에는 "자랑할 수 있게"로 기록되었다가 박해 때 순교자가 생긴 이후 달라진 해석이 나타났다. 바울의 처음 의도는 "심판 날에 자랑할 것이 있는가? "였다.

사랑 없이 자선을 베풀면 주는 사람은 교만한 마음을 갖고 받는 사람은 비참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13:4-7 사랑의 정의 중 핵심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것이다. 고린도교회의 실상이

여덟 가지 부정적인 정의에서 드러난다.

인내의 두 가지 모습: 분노를 멀리 보낼 수 있는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때 그곳에 그대로 머물러 있는가?

3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Comments


bottom of page